Post

대회 분석) 젠지 초반 운영 디테일

안녕하세요. 젠지글로벌아카데미 Cookie 최병국 코치입니다.

드디어 LCK PO가 시작되었습니다.

라이엇이 지난 패치에서 매우 큰 변경을 적용했기 때문에 플옵 경기 양상을 쉽게 예측하기 어려웠습니다.
중요한 1경기에서 젠지가 꺼낸 카드는 라인 스왑이였습니다.

라인 스왑을 통해 어떻게 게임을 굴렸는지 디테일들을 분석해보겠습니다.

2AD 쌍포에 대한 카운터, 그에 대한 대답 

유충의 류가 확 올라 간 지난 14.8 MSI 패치와 정밀 룬 패치 이후 미드 AD 쌍포 메타가 서머 시즌을 지배했습니다.

이에 대한 프로 팀들의 카운터로 쇠약과 콩콩이 E짤로 라인전이 강한 나서스가 대두되면서 나서스의 카운터로 가렌을 솔랭에서 연구하는 등 미드 메이지 메타와는 매우 동 떨어진 모습입니다.

라이엇도 이를 의식했는지 메타 원딜 챔피언과 정밀 룬의 유지력과 피해량을 건들였지만 오히려 미드에 탱키한 브루저 챔피언들이 득세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01.jpg


메타가 혼잡하고 카운터 챔피언이 많이 존재하는 현재 메타에서 레드 진영 밴픽은 쉽지 않았을겁니다.

OP 챔피언을 나눠 먹거나 OP를 주고 카운터를 치는 전략보단 일단 1황들은 없애고 좋은 밸류 챔피언들을 고르자는 방향성이였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젠지가 준비한 조합은 매우 매서웠습니다.

패치 이후 미드 라인전 밸류가 좋아진 챔피언들을 없애 미드 AD의 밸류를 올려 정글의 운영 선택지를 폭 넓게 만들어줍니다.

부족한 AP 데미지는 거듭된 원딜 챔피언 너프와 포탑의 골드 밸류가 중요한 현재 메타에서 최고의 공성과 수성 카드인 직스를 통해 게임 운영의 방향성을 확고히 잡았습니다.

타이트한 턴 관리와 인원 분배로 상대방을 질식시키는 운영, 그 디테일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젠지의 라인 스왑 초반 운영 디테일


02.jpg

패치로 인해 라인 스왑을 하는 쪽이 결국엔 바텀 타워 관리에서 손해를 보게 됩니다.

운영 난이도가 매우 올라간 전략이지만 젠지는 라인 스왑에 대한 이해도가 매우 뛰어났습니다


  1. 라인 스왑을 통해 릴리아의 초반 동선을 견제하여 성장 탄력을 방해함

  2. 직스의 TP를 활용해 라인 이득과 바텀 포탑 수성을 모두 쟁취함

  3. 스왑 단계에서 리헨즈의 움직임으로 인해 경험치 이득을 취함


초반 리헨즈 선수의 움직임이 정말 예술적이였습니다.


03.jpg

상대방이 탑 웨이브를 받을려고 하면 뽀삐의 벽꿍으로 인해 초반 다이브 킬이 쉽게 나옵니다.

킹겐 선수가 웨이브를 포기하고 바텀 철거를 선택했을 때 리헨즈 선수는 빠르게 바텀으로 이동하여


  1. 직스 텔과 맞춰 바텀 타워를 더 빠르게 커버할 수 있음

  2. 젠지는 탑에서 2명이 경험치를 나누는 것에 비해 DK는 3명이서 공유 중

    1. 즉 탑간의 레벨 차이가 발생함


라는 운영적 이득을 취합니다.


04.jpg
젠지의 라인 스왑 후 TP 운영으로 인해 첫 용은 젠지가 획득할 확률이 매우 올라갑니다.


  1. 웨이브가 타워에 박힌 이후 적 타워쪽으로 푸쉬되는 밀물 웨이브 형성

  2. 직스는 템을 사고 라인 복귀, DK 바텀도 귀환 후 템 구매가 강요됨

  3. 반 가르기 풀캠 이후 자신의 칼날부리를 지키러 가야 하는 릴리아

    1. 아랫 바위게 이후 바로 귀환을 할 경우 마오카이에게 1 캠프 손해

    2. 칼부를 먹고 귀환을 할 경우 미드, 바텀 푸시가 밀려 블루 캠프를 지키기 어려움

    3. 이로 인해 릴리아가 정비를 하지 못하고 턴을 길게 사용함


위의 요인들로 인해 첫 용을 젠지가 비교적 쉽게 가져갑니다.

용을 준 대신 릴리아가 횃불을 구매하고 코르키도 미드 푸시 턴을 확보하게 됩니다.

DK 입장에선 반드시 먹어야 하는 유충입니다.

하지만 젠지에겐 “장군, 멍군”은 없습니다.

철저한 턴 관리로 인해 계속해서 자신의 턴을 이어 가는 “장군, 장군” 운영을 합니다.


05.jpg



용 턴에 바텀 라인을 푸시하고 있었기 때문에 젠지의 바텀이 먼저 유충 합류 턴이 나옵니다.

이 과정에서 빛이 났던건 5분 타이밍에 기인 선수의 라인 관리입니다.

라인 스왑을 통해 탑 푸시 라인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5분 턴에 기인 선수는 마나를 적극적으로 쓰면서 딜교환과 푸시를 시도합니다.

6레벨 타이밍인 5분 30초 타이밍에 킹겐 선수는 주도권을 잡기 위해 기인 선수의 압박에 대응하여 탑 라인을 밀게 됩니다.

릴리아까지 붙여서 미는 라인은 형성 했지만 문제는 집을 다녀오지 않은 말파이트 혼자서 탑 라인을 타워 안에 넣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06.jpg

이로인해 6레벨을 먼저 찍은건 말파이트지만 유충 싸움에 쉽게 합류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라인 스왑 단계에서 경험치를 공유해서 첫 라인전도 불편했기 때문에 불편한 탑 라인을 두고 유충 싸움에 합류하기 어려웠습니다.

치밀한 라인 관리를 통해 기인 선수가 먼저 합류하여 젠지가 퍼블과 유충을 먼저 획득합니다.

유충 싸움 이후에 직스가 탑을 압박하는 과정에서 킹겐 선수의 귀환이 끊기는 사고가 발생하여 DK는 생각보다 초반에 큰 타격을 입게 됩니다.

이로인해 젠지는 라인 스왑부터 6분 유충까지 설계한 대로 완벽하게 운영하여 기분 좋은 초반 흐름을 가져가게 됩니다.

이후 철저하게 타워를 돌려 깎고 미드 1차를 지키는 과정에서 빨려 들어오는 DK를 제압하는 운영을 반복하여 승기를 굳히게 됩니다.


초반 교전 장면이 많이 나오지 않더라도 치열한 라인전 딜교환만큼이나 젠지의 초단위 라인 컨트롤 운영 디테일은 뜯어 보는 재미가 매우 좋습니다.

다음 PO 경기에서도 디테일한 재미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심층 분석을 좋아하는 롤잘알들을 위한 젠지 코치 아카데미의 새로운 기수를 모집하고 있습니다.
코치 아카데미에서 프로 운영을 분석하고 이를 코칭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울 수 있는 강의와 실습 기회를 제공합니다.
저처럼 대회 분석과 코칭하는 것에 관심이 있는 분들께서는 지원 부탁드리겠습니다.
디스코드(링크)에서 더욱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https://discord.gg/APDDahga6H


분석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아는 만큼 보이고, 보이는 만큼 재밌는 LCK

리그오브레전드 인벤 LoL/e스포츠 이야기 cookiee
2024-08-29

LoL인벤LoLe스포츠이야기게시판LoL리그오브레전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