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벌목 계산기 올렸었는데
데이터 더 쌓아서 계산 방식 수정하고, 오차범위도 줄였습니다.
고고학, 채광, 식물채집, 수렵, 낚시도 추가했어요
생활 도구 옵션을 입력받아서, 예상되는 재료·골드 획득량을 알려주는 사이트 입니다
해당 창에서
1. 도구 옵션입력
2. 레벨, 부적, 미니게임 비율 입력
3. 적용하기 버튼 클릭
4. 예상총합획득량 클릭
테이블에서 예상 골드 획득량을 보실 수 있습니다.
+5. 획득 개수 저장 클릭
을 하시면 재료 획득 개수가 사이트 쿠키에 저장되고
생활 효율 탭에서 각 생활을 비교 가능합니다
모바일O
(바쁘신 분들은 스킵)
*
처음 회귀분석으로 다 해결하려고 했는데
보물 주머니, 미니게임 같은경우 데이터 표본이 적어서
데이터가 쌓일 때마다 변동폭이 너무 크게 나왔어요
어떤 분석이든 변수를 줄이면 정확도가 향상되니까
변수를 하나씩 제거하면서 개선을 진행했습니다
기존에는 전체 수집량을 비교했지만
이후에는 시스템창에 뜨는 로그를 보면서
순수 획득량, 미니게임 획득량, 추가보상 획득량 이런식으로
각각 어떤 옵션에 의해 나오게된 데이터인지 분리했습니다
또 기울기가 매번 크게 차이가 났었는데(계수)
생활 툴팁에 적혀있는 "확률이 n%증가합니다" 가 어떤 의미인지 다시 생각을 해보고
확률 증가량을 기울기로 적용해서 절편 값(0%일때 값)만 회귀 분석으로 구하는 방식으로
계산식을 다시 짰습니다.
확률 값 자체가 증가하는 경우와
확률 값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경우가 모두 존재해서
기울기를 확정하기까지 조금 시간이 걸렸지만
모든 생활 옵션에 대해 이론모델을 세우고 회귀 분석을 진행했습니다.
생활마다 데이터 테이블이 다르고, 옵션이 적용되는 방식이 달랐지만
큰 편차는 나지 않았어요
고고학의 경우 보상테이블이 큰 대신 미니게임 횟수가 적게 나오고
채집의 경우 보상테이블이 작고,
미니게임 관련된 옵션이 하나 밖에 없는 대신 증가량이 매우 높았습니다.
획득량 자체는 차이가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데
재료 가격은 생활마다 편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생활에 따라 옵션 중요도 차이는 어느정도 있었습니다.
옵션 중요도 예시 (12.24 기준)
(미니게임 관련 옵션의 경우 같이 있을 경우 시너지 있음)
(보라채집물 비율도 미니게임 관련 옵션에 영향)
벌목:
단일: 희귀 > 보물주머니 > 나무차기보상·기회 > 전체 > 고급 > 일반
보상*기회: 희귀 > 나무차기보상·기회 > 보물주머니 > 전체 > 고급 > 일반
고고학:
단일: 보물상자 > 희귀 > 고급 > 일반,전체 > 미니게임보상·기회
보상*기회: 보물상자 > 미니게임보상·기회 > 희귀 > 고급 > 일반,전체
희귀 재료에 가격이 둘다 비싼 벌목의 경우 희귀 옵션에 중요도가 높아집니다
또 특수한 케이스들은
고고학의 보물상자 - 보물 주머니보다 벨류가 높음
보물 주머니: [일반: 1, 고급, 0.5, 희귀 0.1] 비율로 나오지만
보물 상자: [[일반: 1, 고급, 0.5, 희귀 0.2]
채집의 골든 핑거 - 골든 핑거는 미겜 기회와 보상이 합쳐진 방식
최고 수치인 9.8일 때
고고학의 미겜보상·기회 50%,50% 합한 것 보다 높음
이외의 데이터 테이블이나
미니게임기본 횟수, 보물주머니 기본 횟수
이런거 궁금하시면 나중에 정리해서 다시 글 작성하겠습니다.
*
추가로 궁금하신거나 문의사항 있으시면 댓글 남겨주시고
추천 한 번씩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로스트아크 인벤 팁과 노하우 Cross200
2024-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