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

(추가)내부전쟁 1시즌 황폐 기원사 레이드 가이드

안녕하세요, 아즈샤라 서버에서 황폐 기원사를 플레이 하고 있는 학원팟훈수대마왕(aka 여러분의힐링캠프)입니다. 공대 요청으로 황폐를 시작하게 되어 플레이 타임이 길지는 않은데, 많은 분들이 직업 게시판과 인게임에서도 황폐 관련 질문을 주셔서 뒤늦게나마 부족한 실력이지만 간단하게 공략글을 작성합니다. 이 글의 대부분은 내부전쟁 황폐 기원사를 플레이 하면서 얻게 된 노하우를 바탕으로 필자의 주관이 가미되었으며, 정답이 아닐 수도 있음을 미리 말씀드립니다. 또한 공략은 신화 난이도 레이드를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0. 용어 모음

깊숨 - 깊은 숨결 (쿨기)

강화 스킬 - 불의 숨결, 영원의 쇄도 (차징 시간에 따라 강화되는 스킬)

살불 - 살아있는 불꽃 (주력 필러)

대파 - 대규모 파열 (주력 스킬)

용분 - 용의 분노 (쿨기)

하격 - 하늘빛 일격 (필러, 거의 안씀)

불숨 - 불의 숨결 (주력 강화스킬)

영쇄 - 영원의 쇄도 (주력 강화스킬)

산부별 - 산산이 부서지는 별 (딜스킬)

신품 - 신록의 품 (힐)

에꽃 - 에메랄드 꽃 (힐)

비늘 - 흑요석 비늘 (생존기)

소불 - 소생의 불길 (생존기)

 

 

1. 스탯

치명 > 가속 > 특화 > 유연

순으로 장비를 세팅합니다. 많은 분들이 질문을 주시는 부분 중 하나가 '치명이 가장 값이 높으면 가능한 많은 치명을 챙기는 것이 이득이냐?' 인데, 이는 로그 해외 상위 유저들도 어느정도 갈리는 편입니다. 그리고 이번 패치로 반지 하나가 고정이 되어버렸기에 치명타를 예전처럼 많이 챙겨오기가 힘듭니다.

필자는 가속을 10000~11000정도로 유지하고 나머지를 모두 치명타에(키르케 반지 착용, 16000정도) 투자합니다. 유연은 가능한 배제하고, 특화는 장신구나 티어 부위 등등에서 자연스럽게 6~8000정도 수급합니다.

 



2. 장비

머리 - 티어 or 최후의 만찬의 뿔(1넴) or 쐐기 주차보상

목 - 부서진 기억의 목걸이 or 수레키

어깨 - 티어

망토 - 조각난 슬픔의 날개

가슴 - 티어

손목 - 제작 추천(꿈틀거리는 방어구 결속끈 장식)

손 - 티어

허리 - 티어 변환(치가) or 고속 승천 감줄(오비낙스)

다리 - 티어 or 액화된 변절자의 다리보호구(안수레크)

발 - 라샤난의 흉측한 갈퀴발톱(라샤난)

반지1 - 키르케(폭풍인도자, 심해살이, 전설적인 선장)

반지2 - 독성 맹약의 인장(안수레크) or 제작(치가)

장신구1 - 첩보단장의 거미줄

장신구2 - 암흑돌풍 or 속박 풀린 변신수 or 아눕이카즈의 강화의 수정 or 아라카라 낭충봉아

무기 - 양손, 한손, 보조 중 하나 제작(다크문 승천 장식)

 

머리 티어의 경우 스탯이 유특이라 다른 걸 끼셔도 됩니다.

 

목걸이는 수레키를 착용하는 경우도 있었는데, 이 경우 독성 맹약의 인장 반지를 착용해야 치명타가 원활하게 수급됩니다. 또한 키르케의 관 출시 이후 치명타를 챙기기 힘들어 부서진 기억의 목걸이를 착용하시는 것이 스탯을 맞추기 편합니다.

 

희귀 망토는 필수가 아닙니다. 다른거 끼거나 제작하셔도 됩니다.

 

독성 맹약의 인장 반지의 경우 영웅 버전(626)까지는 제작반지(636)과 비슷하거나 근소하게 밀립니다. 신화 버전이 아니시라면 맘편하게 제작하셔도 됩니다.

 

장신구 하나는 첩보를 고정으로 착용하시되, 빈자리 하나는 위에 제시한 4개의 장신구 중 먼저 획득하거나 금고 보상에서 나오는걸 풀업하셔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Q. 양초친구나 기괴한 가열로는 안쓰나요?

A. 양초친구는 시크란, 카이베자 등 단일 네임드에서 로또성 파워를 보였으나, 지능과 2차 스탯이 부족했던 시즌 초반에는 유의미했지만 지금은 그 힘이 떨어집니다. 기괴한 가열로는 사용감이 불편한 데 비해 리턴이 크지 않습니다. 전투 시간이 짧은 영웅 레이드에서 첩보 대용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보긴 했습니다.

 

 

3. 딜사이클

 

 

3-1. 오프닝

대부분의 경우

카운트 2초 전 살불 - 깊은 숨결 - 용의 분노 - 1단계 불의 숨결 - 산부별(글쿨동안 물약, 장신구) - 1단계 영원의 쇄도 - 파열 - 파열 - 파열 . . .  영쇄 - 파열 - 이후 두 번째 불숨에 전세역전을 적용 - 파열 - 산부별 - 파열 - 파열 . . . 하시면 됩니다.


Q. 왜 두번째 불숨에 전세역전을 쓰나요?

A. 불숨은 강화 단계에 따라 데미지가 증가하는 것이 아닙니다. 1단계 불숨은 첫 데미지가 약하지만 도트 시간이 길고, 풀차징 불숨은 첫 데미지가 강하지만 도트 시간이 짧습니다. 용분 지속시간이 만료되기 전에 불숨의 모든 도트 데미지를 우겨넣기 위해 두번째 불숨에 전세역전을 적용해 즉발 풀차징 불숨을 사용합니다.

 

3-2. 스킬 우선 순위

특정 구간 딜을 몰기 위해 킵하는 것이 아니라면 불숨과 영쇄, 파열, 깊숨, 용분은 올 때마다 사용하시면 됩니다.

 

3-3. 용의 분노 재사용 대기 시간이 약 10초 이내라면 불숨과 영쇄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영쇄는 티어 효과와 특성으로 쿨이 금방 돌아오는 편이라서 사용했다고 하더라도 비교적 수습이 용이한데, 불숨은 거의 용분 사용 직후 최대한 빠르게 사용해야 용분을 최대 시간으로 연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불숨 만큼은 절대 용분이 10초 이내로 남았을 때 사용하면 안됩니다.

 

 

3-4. 도대체 Chain과 Clip이 먼가요;;;;

그전에, 파열은 지속시간 내내 딜이 들어가는 게 아니라 틱 지점마다 데미지가 들어간다. 라는 것을 알고계시면 좋습니다.

 

 

 

체인

파열과 파열을 이어서 사용하는 것을 체인이라고 합니다. 와우의 빨대류 스킬 매커니즘에 독특한 부분이 있는데, 같은 빨대 스킬을 시전시간이 만료되기 전에 재시전하면 마지막 틱이 다음 빨대의 첫 틱으로 이전됩니다. 

 

 

첫 파열의 틱 표시(총 3등분), 시전이 2/3지점까지 완료됐을 때 다음 파열을 체인한다.

 

 

두번째 파열을 체인 했을 때(첫 파열의 마지막 틱이 이전되어 총 4등분 된 모습)

 

이해가 어렵다면 아래처럼 생각하시면 됩니다.

 

1번 파열을 풀캐스팅하고 2번 파열을 풀 캐스팅 하는것과

1번 파열의 마지막 틱이 남았을때(2/3지점 이후) 파열을 재시전 하면

 

두 경우의 데미지는 같은데 아래가 총 시전 시간이 짧아 효율적인 자원소모와 더 강한 dps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풀캐스팅 - 풀캐스팅 사이에 잠깐 비는 공백 시간까지 없앨 수 있음)

 

주의사항

일반 파열과 일반 파열은 체인이 가능하다.

대규모 파열과 대규모 파열은 체인이 가능하다.

대규모 파열과 일반 파열은 체인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두번째 대규모 파열은 풀캐스팅한다.

! 타겟이 4타겟 이상 다수일 경우 대규모 파열의 체인 여부를 고려해보아야 한다. 타겟이 변경되는 체인은 체인으로 간주되지 않아 딜로스가 발생함.

 

 

그럼 체인은 언제함?

=> 가능한 항상, 하지만 강화스킬이 약 4초 이내라면 파열을 풀캐스팅함.(파열 틱당 강화스킬 쿨감, 자연 쿨감으로 약 4초 내에서 풀캐스팅 시 자연스럽게 강화스킬 쿨이 돌아옴. 이것을 까먹고 체인하면 다음 파열 시전 도중 강화스킬의 쿨이 돌아 강화스킬을 미룰지, 파열을 끊을지 양자택일을 하게 됨.) 

 

Q. 가끔 대파가 아닌데도 대파가 나가던데요?

A. 이펙트만 3갈래로 나가는 버그입니다. 데미지는 일반 파열 그대로 단일 대상에게만 적용됩니다. 보통 마지막 대규모 파열을 끝까지 캐스팅 하지 않고 일반 파열을 아슬아슬하게 잇거나 체인 했을 때 해당 이펙트 버그가 발생합니다. 

 

 

클립

파열 사용 도중 파열을 끊고 파열이 아닌 다른 스킬을 의도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클립(클리핑)이라고 합니다.

 

Q. 언제, 왜 해요?

A. 클리핑은 거의 용의 분노 지속시간에만 사용합니다. 보통 파열을 2/3지점까지 사용 후 다른 스킬을 시전합니다. (파열 시전 시 글쿨때문에 그 전에 취소할 수 없습니다. 글쿨이 돌자마자 하더라도 캐스팅 바 중간지점을 넘고 있기 때문에 파열틱이 적용되는 2/3지점을 지난 후 사용하는 것입니다.

클리핑을 하는 이유는 용의 분노 지속시간 안에 최대한 많은 딜을 우겨넣기 위해 사용하는것입니다. 이를 이해하려면 다음의 특성을 살펴보아야 합니다.

 

정수폭발(무료 파열, 무료 기염)을 이용한 파열은 더 강한 데미지를 입히는데, 용의 분노 지속시간 동안에는 살불과 하격 사용시 100% 확률로 정수폭발이 발동합니다. 따라서 정수를 소모하는 파열보다 정수폭발을 소모하는 파열이 더 강력하기 때문에 정수폭발을 모두 사용했을 때 살불을 클리핑하여 다시금 정수폭발을 빠르게 띄우고, 더 강한 파열을 재사용합니다. 딜사이클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정수폭발은 최대 2충전됨.

*대규모 파열 중간에는 절대로 클리핑하지 않음.


용분 - 불숨 - 산부별(정수폭발 한개) - 영쇄(정수폭발 두개) - 대규모 파열(한개 소모) - 대규모 파열(두개 소모) - 운좋게 정수폭발 하나가 환급되었다면 파열 - *그 다음 체인할 파열은 정수폭발이 없는 파열이기 때문에 살불을 클리핑하여 최대 두 개의 정수폭발 재생성* - 파열 - 파열 . . .         <- 클리핑을 사용


용분 - 불숨 - 산부별(정수폭발 한개) - 영쇄(정수폭발 두개) - 대규모 파열(한개 소모) - 대규모 파열(두개 소모) - 정수폭발이 남은게 없다면 살불로 정수폭발 생성 - 파열 - 파열 . . .   <- 클리핑을 할 필요 없음


다른 이유로는 파열 시전 중 돌아오는 강화스킬을 빨리 굴리기 위해 클리핑을 하기도 합니다.



4. 팁

많은 분들이 질문주시고 실수하시는 부분을 설명하겠습니다.

 

1. 단일에서 영쇄는 반드시 1차징입니다.

 

2. 강화 스킬은 가능한 쿨이 올 때마다 사용합니다.

-> 가장 많은 분들이 실수하시는 부분입니다. 불숨 - 산부별 - 영쇄 국민콤보를 사용하기 위해 어떤 스킬이 먼저 쿨이 돌아도 킵하는 분들이 계신데, 이는 좋지 않습니다. 특성과 티어 효과로 보통 영쇄가 먼저 쿨이 돌텐데, 먼저 사용하시면 됩니다.

-> 쿨타임상 보통 오프닝 용분 불숨 산부별 영쇄 . . . 이후 두번째 영쇄가 먼저 올텐데,

영쇄 - 대파 - 전세역전 불숨 - 대파 - 산부별 - 파열 - 파열 . . . 식의 사이클이 전개되실겁니다.

 

2-1. 영쇄 사용 후 파열을 두 번 사용하기 전까지 산부별을 누르면 망합니다.

-> 이는 아래 특성 때문입니다.

 

불숨은 붉은 색 계열의 주문(기염, 살불)을 강화하고, 영쇄는 푸른 색 계열의 주문(파열, 산부별)을 강화시킵니다.

산산이 부서지는 별의 효과는 적중 시 4초간 대상이 받는 피해를 20% 증가시키는데, 산부별 자체의 깡 데미지는 약한 편입니다. 산부별은 다음 파열의 데미지를 강화시키기 위해 사용할 뿐입니다. 영쇄 후 산부별을 사용한다면 산부별의 깡데미지에 오색 빛깔 하나가 소모되어 딜로스를 가져옵니다.

 

3. 산부별은 가능한 쿨마다 쓰되, 두 번 이상 파열을 사용할 수 있을 때 사용합니다.

산부별은 투사체가 도달한 후 4초간 적용되는데, 정수가 0~1.5인 상황에서 산부별을 던져버리면 산부별이 주는 정수 폭발 하나로 파열 사용 후 이어서 파열을 사용할 정수가 없습니다. 남은 지속시간 동안 딜로스를 가져옵니다.

 

4. 영쇄와 산부별은 정수폭발을 하나 이상 소모 하고 사용합니다.

영쇄와 산부별은 각각 정수폭발 하나를 지급해줍니다. 정수폭발이 2충전된 상태에서 사용한다면 정수폭발 하나를 날리게 됩니다. 단, 정수폭발이 계속 환급되어 쿨이 밀리려 한다면 주저않고 산부별과 영쇄를 사용해줍니다.

 

 

5. 고급 팁

 

1. 불숨 사용 후 급하게 파열을 사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대규모 파열 버프의 지속시간은 길기 때문에, 불숨 사용 후 정수폭발이 없는 대파를 사용하기 보다, 불태움 버프(즉발 살불)가 있다면 한두번 던져서 정수폭발을 노리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비슷한 활용방법으로 불숨 사용 후 산부별이나 영쇄가 약 2~3초 남았다면, 살불로 시간을 벌다가 산부별이나 영쇄를 사용하시면 정수폭발+산부별+오색빛깔 풀버프를 받고 대파를 두번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다음의 매크로를 사용하시면 좋습니다.

/오라취소 깊은 숨결

-> 깊은 숨결을 사용 후 재시전하여 캔슬하는 방법은 최소 시전시간이 있고, 빠르게 연타할 경우 자체적으로 씹혀버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매크로를 만들어 깊은 숨결을 즉시 취소하는 것이 딜로스를 최소화 합니다.

 

필자의 경우 다음의 매크로를 묶어 사용합니다.

#showtooltip 용의 분노

 

/오라취소 깊은 숨결

/시전 용의 분노

-> 용의 분노 대신 해당 매크로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깊숨이 아닐 때 누르시면 용분이 사용되고, 깊숨 시전 후 한 번만 누르면 깊숨만 취소됩니다. 깊숨 시전 후 연타시 깊숨이 취소되고 즉시 용분이 발동합니다.

 

3. 오프닝 때 부양을 미리 사용해두시면 좋습니다.

비늘사령관 황폐 기원사의 특성 중 다음이 있습니다.

 

깊은 숨결 사용 시 부양 두 개를 돌려줍니다. 훨씬 매끄러운 플레이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풀링 4초 전 부양 - 풀링 3초 전 부양 - 2초 전 살불 - 깊숨 - 용분 . . . 이후 돌아온 부양 두 개를 추가 사용합니다.

와류 타이밍이 지정되지 않은 경우 오프닝에 사용해 부양을 3개 들고 시작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4. 부양을 '글쿨 동안' 누르시는 습관을 들이시면 좋습니다.

부양은 글쿨을 먹지 않는 즉발 기술이지만, 자체적인 시전 모션과 약간의 딜레이가 있습니다. 가장 딜로스 없이 부양을 사용하는 타이밍은 글쿨동안 사용하는 것입니다. (ex. 즉발 살불, 용분, 산부별 등등)

 

5. 부양은 만료되어도 약간의 유예 시간을 줍니다.

부양이 주는 무빙 캐스팅은 만료되어도 약 0.5초간의 유예를 줍니다. 만료되어도 잠깐동안은 무빙캐스팅이 가능하다는 의미입니다. 하지만 이 때 무빙하면서 스킬 재사용 시 즉시 취소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큰 딜로스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6. 산부별은 가능한 멀리서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산부별의 뎀증 효과는 투사체 도달 후 적용이기 때문에 대상과 딱붙은 상태에서 사용하면 산부별을 시전하자마자 효과가 적용됩니다. 이는 직후 글쿨 동안의 딜로스를 가져옵니다.

 

7. 살불은 아군을 치유하는 것으로도 정수폭발을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단일 넴드에서도 불숨 사용 후 살불 사용 시 화염 도약 특성으로 인해 주변 아군에게 치유가 들어가 2개의 정수폭발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해당 효과는 아군이 부상당한 경우에만(풀피가 아닌 대상에게 유효힐이 들어갔을 때만) 발생합니다. 이를 통해 몇 개의 정수폭발이 환급될지 예상할 수 있습니다.

 

8. 대규모 파열은 자신이 바라보는 시선으로 발동합니다. (12/26추가)

예를 들어 주 타겟과 부 타겟이 이격되어 있을 때(ex 비단궁정) 주 타겟을 바라보고 대파를 사용하면 옆에 있는 부 타겟에 빨대가 꽂히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시점을 주타겟과 부타겟 사이에 두고(고개를 너무 꺾어버리면 대상이 앞에 있지 않아 스킬이 나가지 않을 수 있음) 대파를 사용하시면 손쉽게 대파를 여러 갈래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한 대상이 아닌 최대 3타겟에게 파열을 꼽는 것이 dps 기댓값이 가장 크므로 숙련되시면 좋습니다.

 

 

 

 

6. 특성

기원사 공용 특성은 입맛에 맞게 바꾸셔도 됩니다.

 

1. 단일 (울그락스, 시크란, 카이베자)

CsbB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zMzMYmNzgBMYMTzYmJz2YbMzMjZMz2MgZMz2YmZZMDMwYwCsMGN2GAzAwGG

 

 

2. 투타겟 또는 기염을 사용하지 않는 광 네임드 (피결속 공포, 비단궁정)

CsbB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zMzMYGmBDYwYmGzMTmtx2MzMzYGzsNDYGzsNmZWGzADMGsALjRjtBwMAshB

 

 

3. 광네임드 (오비낙스, 안수레크)

CsbB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AmZGYGmhZADGz0YmZysNz2MzMzYGzsMDYGzsxMz2MzADMGsALjRjtBwMAshB

 

 

 

7. 신화 넴드별 팁 (12/26 추가)

1넴 울그락스

 

.7 패치로 사잇페 쫄딜이 집계되지 않기에 단일 특성을 타시면 됩니다. 끌어당기는 패턴 때 히트박스가 넓어 넴드의 사거리에 닿지 않아도 깊숨을 적중시키며 저항할 수 있습니다. 숙달이 되신다면 사잇페가 중반~끝물일 때 불숨과 영쇄로 대파를 쌓고 기염으로 쿨을 줄여 본페이즈에 가져갈 수 있습니다.

 

2넴 피결속 공포

 

내부 조 진입시 가급적 뒷편에 포지션을 잡고 불숨으로 큰쫄과 넴드를 동시에 맞추시면 좋습니다. 범위 전멸기 타이밍에 용분이 돌아오실텐데, 사용 후 역설을 이용해 범위 밖에서도 지속적으로 딜할 수 있습니다. 단, 용분 사용시 발사되는 기염과 불숨 자체의 사거리는 증가하지 않기에 범위 안에서 용분과 불숨 사용 후 밖으로 나가시면 좋습니다.

 

 

 

3넴 시크란

항상 빠르게 패턴을 대처할 수 있는 위치에 자리를 잡고, 바닥 등의 패턴이 오기 전에 글쿨 사이사이 부양을 활성화해줍니다.

 

4넴 라샤난

두 번째 불숨을 아주 조금만 미루면 쫄이 나오는 타이밍에 전세역전 불숨을 적중시킬 수 있습니다. 3단상에서는 쫄이 나오지 않기 때문에 스킬을 쿨마다 돌리고, 그 외 단상에서 쫄이 나오는 시간을 미리 확인해 본체와 쫄을 동시에 맞출 수 있는 포지션을 잡고 깊숨과 불숨을 활용하시면 좋습니다.

 

5넴 오비낙스

첫 번째 알까기에 용분을 맞추고, 매번 알까기에 깊숨을 맞추시면 됩니다. 알까기 이후 고핀이 되는 타이밍에 깊숨 -> 용분 콤보를 사용하시면 충전폭발(기염 강화 특성)이 발린 기염 3발이 온전히 쫄에 꽂히기에 큰 dps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또한 깊숨 사용 중 cc면역이기 때문에 해제 디버프를 무효화 할 수 있습니다. 공략 상 작쫄이 잡힐 때까지 기염, 이후 큰쫄만 남았을 때 대파를 사용하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6넴 카이베자

첫 바닥 깔기 패턴 때 황폐의 짧은 사거리로 애로사항이 발생할 수 있으니 가능하다면 넴드와 가장 가까운 포지션을 잡으시면 좋습니다. 숙달이 된다면 이후 돌진 패턴에 걸렸더라도 맞은 후 부양으로 빠르게 접근하여 깊숨을 맞추고, 다시 부양으로 나가는 테크닉을 기르시면 좋습니다. 사잇페 시작 시 와류, 2충전 부양으로 총 3개의 부양을 들고가시면 사잇페 내내 프리딜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7넴 비단궁정

깊숨의 시전 횟수와 적중 횟수가 꽤 많은 지분을 차지합니다. 다만 테러의 위험이 있기에 숙달되기 전까진 보수적으로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접근이 부담되어 깊숨을 사용하기 어렵다면, 차라리 제자리 깊숨 - 깊숨 취소로 부양 2스택이라도 들고 가시는 것이 매끄러운 플레이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용분은 보통 1페 첫 돌진에, 2페 첫 해제에, 이후 쿨이 오는대로 사용합니다. 해제 디버프는 타카즈가 행불에 걸렸을 때 증뎀이 아니라 해제 후 디버프가 적용될 때부터 25%씩 증가하니 1해제가 됐을 때부터 용분을 사용하셔도 됩니다. 기원사 공용 특성 해체를 찍어 사잇페이즈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8넴 안수레크

패턴이 대다수 너프되어 황폐 기원사의 경우 모든 비단무덤(뿌묶)에 깊숨을 맞출 수 있습니다. 또한 상황이 허락할 경우 오프닝 와류를 사용하시면 1페이즈 후반까지 매끄러운 플레이가 가능합니다. 2페이즈 2단상 캐스터(대롱이 두마리)를 단상 앞쪽에서 대파 사용 시 둘 모두 적중시킬 수 있습니다. 용분은 보통 1페이즈에 두번 - 2페이즈 2단상에 한번 - 3페에 오는대로 사용합니다.

 

 

마치며

질문 글은 많은데 최신화된 공략글이 많지 않아 부족한 필력이지만 도움을 드리고자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글이 난잡하거나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으시다면, 혹은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부분이 있으시다면 댓글, 인게임 또는 인벤 쪽지 주시면 늦게라도 꼭 답장 드리겠습니다.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인벤 기원사 쌉쌉
2024-12-24

와우인벤와우인벤기원사게시판와우월드오브워크래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