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루페온 에서 플레이하고 있는 월장석이라고합니다.
이번 레이드는 굉장히 많은 사람들이 유격에 대해, 즉사기에 대해 말이 많았고
또 힘든 레이드가 아니었나 합니다.
늘 그렇지만 제가 첫 주에 경험한 부분을 공유하는 글이다 보니 틀린 정보가 많을 수 있습니다.
3막 칠흑, 폭풍의 밤 3관문 모르둠
1. 1페이즈 갑옷 파괴 단계 (425 달리기)
2. 2페이즈 1격돌 이후 (275 저스트 가드)
3. 3페이즈 2격돌 이후 (능지 후 안전지대)
4. 4페이즈 3격돌 이후 (저스트 가드 이후 패턴 변화)
5. 0줄 패턴 (몰?루)
3막 칠흑, 폭풍의 밤 3관문 모르둠의 기본 기믹
모르둠과 전투에 진입 시 모든 캐릭터에게 전하를 부여합니다.
↑ 모르둠과 조우 시 모든 캐릭터에게 전하를 부여하며 최초 부여한 전하는
음전하(마이너스) 양전하(플러스) 4/4 로 나눠지며 모든 장판 및 패턴에 같은 극의 전하에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한 음전하(마이너스) 양전하(플러스)의 전환의 균형이 무너졌을 때의 패널티로 공대 전체에 지속적인 피해를
유발합니다. 전하의 균형이 크게 무너질 수록 더 큰 피해가 들어오기 때문에 균형이 무너졌다면 맞출 때 까지
서포터의 케어가 필요합니다.
이 후 양전하와 음전하를 설명 시
파란색,빨간색으로 설명하겠습니다.
1. 전하의 변동 조건에는 2가지가 있는데 첫 째 전류 게이지가 50%를 넘었을 시
↑전하 게이지가 50%를 넘어서 파란색에서 빨간색으로 넘어간 모습
장판의 반대 색상은 근처에 오면 전하 게이지가 차오르며 피해를 입는다.
2. 주기적으로 전하 변환 장판을 부여
↑변환 장판 만료 시 장판 위에 올라간 모든 대상은 전하가 변경된다.
↑전하 변경보다 중요한 건 내려치는 번개를 맵의 외곽으로 빼주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공대장은 전하 변화 인원수를 신경 쓰기보다 내려치는 번개 대상을 계속 상기 시켜 주는 것이 좋다.
전하 변환에 콜이 많아지면 분위기가 어수선해지며 사고가 나는 경우가 많으니 주의
1. 1페이즈 갑옷 파괴 단계 (425달리기)
1-1 카운터 패턴
카운터에 성공 하면 짧은 약점 포착 타이밍을 주며 파괴+딜을 통해 갑옷을 파괴 시킬 수 있다.
갑옷이 파괴되면 이후 모든 위치에서 백, 헤드 어택 판정을 받기 때문에 사멸이 많은 공대라면
에스더 바훈투르를 사용하여 빠르게 파괴를 시키는 것도 좋다.
1-1-1 색깔 카운터 (파란색)
↑모르둠이 파랗게 빛나며 파란색 장판을 뿌린다. 이 후 파란색 전하 보유자가 카운터를 치면 성공
카운터 패턴도 파란색으로 빛나기 때문에 주의!
1-1-2 색깔 카운터 (빨간색)
↑모르둠이 빨갛게 빛나며 빨간색 장판을 뿌린다. 이 후 빨간색 전하 보유자가 카운터를 치면 성공
1-1-3 협동 카운터 (나뭇가지 후 협카)
↑바닥에 나무 가지처럼 여러 갈래가 생기고 헤드방향으로 협동 카운터가 나온다. 2명만 성공하면 파훼
1-1-4 연속 카운터
↑손을 높게 들고 내려치기 직전 카운터를 순차적으로 2회 하면 성공!
1-2 번개 피하기
↑ 최초에 발생한 번개가 보스 근처는 왼 쪽으로 돌아가기 때문에
처음 발생한 번개만 보고 따라가면 안전하다.
중간 징표가 나오는 십자 번개들은 경직,감전을 걸지 않기 때문에 무시해도 무방
1-3 장판 피하기
↑ 번개 피하기와 동일하게 번개가 3줄 나오지만 오른쪽으로 돌아간다.
장판은 최초 위치와 2번째 위치가 동일하며 3번 째 4번 째에는 노란색 장판이 한 장 씩 추가됩니다.
노란색은 본인의 색깔과 상관 없이 전하 게이지가 높게 차기 때문에 주의 해야합니다.
1-4 425 달리기
모두가 한마음 한 뜻으로 싫어하는 그 패턴
바훈투르의 대사가 나온 후 원이 좁혀집니다.
저희는 총 2가지 택틱으로 진행했는데 클리어는 첫번 째 택틱으로 했습니다.
(1,2파티 나눠져서 나가기)
↑ 원이 좁혀질 때 원의 왼 쪽으로 모인 후 1파티가 왼 쪽, 2파티가 오른 쪽으로 진행했다.
왼쪽으로 나가는 파티의 서포터인 도화가님 기준으로 설명하자면
1. 원이 모이는 동안 몽유도원
2. 나가려고 대기 중 일 때 해그리기
3. 스페이스 바를 타며 왼 쪽으로 이동한 후 미리내 1틱
4. 콩콩이로 따라가기
로 진행 시 넬라시아 등의 추가 케어가 없어도 체력이 달지 않았다고 한다.
↑ 또한 왼쪽으로 진행한 파티는 높은 확률로 레이저가 따라가기 때문에 (이유는 확인하지 못했음)
왼쪽 파티는 길을 막고 있는 구체만 먹고 진행하였으며 오른쪽 파티는 반반 나눠져서 최대한 빠르게 달리며 2명은 앞에 있는 구슬을 지우고 2명은 레이저를 따라가며 왼쪽 파티가 놓고간 구슬을 지우는 방식으로 진행
번외 8인 한방향 달리기
↑ 리트 요소가 너무 심해서 폐기한 택틱
원래 의도 된 공략 법 인 것 같다.
한 쪽으로 이동하며 이동이 빠른 사람들이 앞에 있는 구슬을 감전이 걸리지 않는 범위에서
순차적으로 먹고 느린 사람들은 뒤에서 성스러운 부적 등의 케어를 통해 진행
↑ 해당 이슈를 수정
1월 24일 올라온 공지를 보아 4/4 택틱이 아닌 8인 달리기로 진행해도 큰 문제 없이 수행 가능할 것으로 보임.
1-5 결투 패턴
1-5-1 결투자 지정 (구체 파괴)
↑ 모르둠이 양손으로 땅을 짚으며 한명을 결투 대상으로 지정한다. (짤에 보이는 디버프가 결투, 이펙트 있음)
결투 대상은 구체 앞으로 이동하여 레이저를 맞추면 된다.
레이저에 피격 시 감전과 함께 높은 데미지+전하 게이지 상승이 있기 때문에 발사 모션을 보자마자 빼자.
1-5-2 저스트 가드 후 지형 파괴
맵을 자세히 보면 점이 1,2,3,4개 존재하고 각 순서대로 지형 파괴 저스트가드의 위치이다.
해당 번호대로 파괴하기 때문에 결투 대상자는 미리 이동해주는 것이 좋다.
↑ 저가 성공시에도 20억 씩 데미지가 있기 때문에 무조건 성공해주는 것이 좋다.
2. 2페이즈 1격돌 이후 (275 저스트 가드)
2페이즈는 낙사, 색깔 망치 패턴, 3개의 즉사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낙사는 보라색 줄이 생긴 곳(와이어 존)에 밀려나거나 피격 이상을 당할 시 유발된다.
또한 대부분의 패턴이 머리 앞이 안전이기 때문에 공대 본진을 계속 중앙 쪽으로 유도하여
한 점에 모여서 이동기를 아끼며 딜하다가 즉사기가 나오면 흩어지는 편이 안전하다.
2-1 색깔 망치 패턴
2-1-1 좌우 망치
↑가장 구분하기 쉬운 패턴 망치의 색대로 따라가면 된다.
2-1-2 한손 망치
↑망치의 색깔과 동일한 색깔 (영상 기준 빨간색)이 안쪽 안전이다.
같은 색이더라도 망치가 찍히는 곳에 피격 시 높은 데미지를 입으니 주의
2-1-3 양손 망치
↑망치의 색깔과 동일한 색깔 (영상 기준 파란색)이 십자 안전(헤드,백)이다.
빨간색은 헤드 방향의 옆 즉 X자 안전이다.
(색 망치들을 브리핑 할 때 파랑 십자 / 빨강 안쪽 이런식으로 브리핑하는 편이 인지하기 편하다는 얘기가 있었다)
2-1-4 드레이븐 망치
↑총 3번의 도끼 충격파를 날린 후 바닥을 찍는다.
최초 모션 시 양손에 다른 색을 지니고 있다가 도끼가 2번 날아다닌 후
양손이 같은 색으로 변한 뒤 찍는다. 이 때 색깔이 같은 쪽이 안쪽 안전이다.
영상에선 양손이 빨간색으로 변했으니 빨간색이 안쪽
2-2 헤드 안전 패턴들
2-2-1 휘리릭
2-2-2 교차
2-2-3 2찍 후 회오리
2-2-4 한손 즉사 망치
↑즉사망치도 헤드가 안전이긴 한데 가끔 사고가 나서 외곽으로 뺴는게 좋습니다
2-3 위험한 패턴들
2-3-1 양손박수
↑양손 박수는 가운데에서 정타로 맞으면 매우 높은 데미지를 받고 사망합니다.
(광시,미리내 등의 높은 뎀감 OR 실드로는 생존 가능)
이후 보스의 주변이 터지기 때문에 조심
2-3-2 한손 망치 찍기
↑한손 찍기는 오랜 시간 번개를 모으다가 어글자를 향해 찍습니다.
헤드에 딱 붙으면 안전하지만 아주 가끔 위치 렉인지 사고가 나서 안전하게 뺴는 걸 추천 드립니다.
찍은 후 망치 주위에 충격파가 터지기 때문에 낙사에 주의해야합니다.
2-4 기믹들
모르둠의 모든 기믹은 무력화 게이지가 잠기며 시작 되기 때문에 전조를 확실히 모를 땐
무력화 게이지를 보는 것이 좋습니다.
2-4-1 325줄 구체먹기
↑맵의 중앙에 돔을 생성한 뒤 터지기 전에 안으로 들어간 뒤 구슬을 먹는 패턴
구슬은 개당 10%의 공격력 증가 버프를 주지만 구슬을 먹는 동안 보스가 패턴을 계속 사용하기 때문에
보스를 계속 주시하고 있어야한다.
구슬이 남아있더라도 외곽에 깔린 구슬은 떨어지는 번개 (작은 원 장판)로 변형되기에
먹기 힘든 동선 혹은 패턴 때문에 힘들다면 안쪽 구슬부터 먹고 바깥은 천천히 먹어도 위협적이지 않다.
2-4-2 300줄 슈퍼노바
↑망치를 양손으로 잡고 차징을 3번 했을 때 카운터를 치면 된다.
(미리 카운터를 치게 되면 다시 차징을 해서 내려 찍으므로 주의)
2-4-4 275줄 3저가 (모루)
↑초각성으로 못넘겼다면 많은 공대가 깨지지 않았을까?
망치를 들고 내려 찍기 직전에 초각성을 사용하면 모두 가능
혹시 내가 빨리 써서 위험하다 생각되면 시간 정지 물약을 바로 누르면 좋다.
↑떨어지는 모루도 피격 판정이 있고 매우 높은 피해를 입히기 때문에 조심
2-4-5 2번째 지형 파괴 후 저스트 가드
↑2번째 지형 파괴도 첫 번째와 동일하게 결투 대상 지정 후 진행된다.
↑ 미니맵의 1,2,3,4번 위치를 확인 한 후 이동하면 좋다.
카운터 타이밍은 땅 - 망치를 나눈 후 따당 느낌
3,4페이즈부터는 상대적으로 경험치가 적다보니 섬세한 공략을 작성하기 조금 곤란한 부분이 있습니다. 설명에 틀린 부분이 많을 수 있으니 참고 정도만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3. 3페이즈 2격돌 이후 (능지 후 안전지대)
본격적으로 낙사와 와이어 액션이 시작 되는 구간.
와이어 액션이 만능이 아니고 여러 명이 순서대로 타면
공중 요격 당하는 패턴이 있기 때문에 와이어를 무적처럼 사용하면 공중에서 죽을 수 있다
3. 3페이즈 2격돌 이후 (능지 후 안전지대)
3-1 일반패턴 정리
3-1-1 2번 찍기
↑ 기본 패턴 중 하나인 2찍입니다. 1찍 후 레이저와 첫 패턴 모션이 같지만 가슴에 빛이 나지 않는다.
3-1-2 찍고 레이저
↑ 첫 찍기 할 때 부터 가슴에 빛이 난 후 전방 레이저를 발사한다.
3-1-3 연속 카운터
↑ 지형 파괴 전에 사용하던 패턴들과 같지만 제일 위험한 패턴인 잡기와 준비 모션이
비슷하여 위험.
3-2 위험한 패턴 정리
3-2-1 잡기
↑ 2지파 후 가장 많이 리트가 많이나는 요소인 잡기
1명이라도 잡히면 짧은 카운터를 주며 성공 시 풀려나며 짧게 그로기된다.
에키드나 잡기를 피하는 것 처럼 휘두르는 팔 방향 쪽이 판정이 좁다.
정말 정말 위험하기 때문에 애매하게 잡기와 카운터가 헷갈릴 때는
카운터를 버리는 식으로 진행하였다.
↑ 아마 한번 씩 보게 될 장면이 아닐까...
3-2-2 밀기
↑ 밀기의 경우 경직과 피격 이상의 두 가지 모션이 있는데 낙사를 유발하기 때문에 항상 조심해야한다.
3-3 다양한 기믹들
3막의 경우 일반 패턴 대비 굉장히 많은 기믹들을 지니고 있습니다.
빠르게 깨기 위해 얼렁뚱땅 넘긴 부분이 많다 보니 설명이 매우 미흡합니다.
인벤 글 작성의 최대 파일이 50개까지밖에 올라가지 않아 2부로 작성하겠습니다..
이번에도 미흡한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빠르게 추가 작성 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로스트아크 인벤 팁과 노하우 Mev
2025-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