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가이드는 마영전 인벤, 퀘이사존 등에서 올라온 것 + 아는것 대로 설명 추가입니다.
해당 가이드는 싱글 그래픽 카드(하나의 그래픽 카드)를 이용하는 것이 아닌 듀얼 그래픽 카드(2개의 그래픽 카드)를 이용한 방법입니다.
해당 방법은 싱글 그래픽 카드로 사용시 처리 부족으로 인해 생긴 각종 문제점이 해결이 되는 것이기에 현재 많은 분들이 이를 이용하여 프레임을 증가시키고 있습니다.
LSFG는 게임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게임에서 적용가능하며 유튜브를 볼 때에도, 넥플리스 볼 때에도 적용가능합니다.
라데온 AFMF2에서도 적용가능한 방법입니다.
A, 사용 전 오리 셋팅
이 프로그램은 Steam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 < LSFG > 로 검색하면 됩니다. 그리고 유료 프로그램입니다.
원화로 7,800원입니다. 해보고 별로면 스팀 규정에 의거하여 환불받을 수 있으니 확인하세요.
설치가 완료된 후 바로 실행시키지 말고, 우클릭 - 속성을 눌러줍니다.
그리고 좌측 항목에서 베타를 누른 후 우측에서 베타 참여의 우측에 위치한 칸을 선택하여 beta-beta를 선택하고 창을 종료합니다.
이대로 하시면 이런 UI를 보실 수 있습니다.
B. 가이드
용어정리
높은 성능의 게임을 구동하는 GPU= 렌더링 GPU
LSFG 프레임생성을 할 GPU= 서브 GPU
필요 사항
듀얼 GPU 셋업에서 사용할 때 100% 해상도 스케일에서 X2 LSFG로 다양한 GPU가 생성할 수 있는 최대 프레임 속도를 보여주는 차트입니다. 여러 다른 사용자의 데이터를 사용합니다. 일반적으로 더 높은 승수는 기술적으로 더 효율적이기 때문에 서브 GPU를 사용하여 더 높은 프레임 속도를 달성할 수 있습니다.
구성방법
참고 사항:
c. 엔비디아 설정 등
[NVIDIA 컨트롤 패널 설정]
1. 전역설정
- 쿠다와 오픈GL 렌더링 GPU를 메인 GPU로 설정
(쿠다 설정이 보이지 않을 경우 엔비디아 앱을 이용해서 설정 해주세요)
- 저지연 모드 설정
2. 플레이 할 게임 설정
- 최대 프레임 제한 (기존과 동일)
3. 오리설정
- 쿠다와 오픈GL 렌더링 GPU를 서브 GPU로 설정
- 최대 프레임 속도를 모니터 주사율에 맞춰 제한
설정 CRTL+ SHIFT+SEC키 눌러 작업관리자
-> 자세히
-> 오리의 우선 순위 설정을 높음
-> 플레이 할 게임은 보통
D. 오리 가이드
스케일링 하단에 있는 < 방식 > 은 필터 효과같이, 선명함을 주로 올려주는 옵션입니다. 여러 옵션이 있으니 개인이 직접 여러 시도를 한 뒤 정착하는 것이 좋습니다. 개발자 언급에 의하면 3D 게임은 LS1, SGSR 옵션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프레임 생성 하단에 있는 < TYPE > 은 LSFG 3.0을 사용합니다. 이전 버전과 비교하여 탁월한 성능을 보여줍니다.
< 모드 > 는 자신의 모니터 주사율 수치에 따라 다르게 적용합니다.
만약 자신의 최소 프레임이 60이고, 모니터 주사율이 120hz라면 X2를 선택하면 원본 프레임은 60, 실제 화면으로 보여지는 프레임은 120이 됩니다. 개발진 공식 권장 설정은 안정성이 제일 좋은 X2 입니다.
프레임 생성 하단에 있는 < 해상도 스케일 > 은 GPU 부하를 줄일 수 있는 기능입니다. 성능에 조금 더 집중할 때 사용합니다.
개발진이 언급한 권장 수치는 QHD 모니터는 75%, 4K 모니터는 50% 입니다. 각자 환경에 맞는 수치를 찾아보시길 바랍니다.
렌더링 하단에 있는 최대 프레임 설정은 여분의 프레임을 더 생성시키는 것으로, 프레임 랜더링 시간이 길거나 자신의 모니터보다 더 높은 주사율을 사용하고 싶다면 수치를 올려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본 프레임이 낮은 상황에서도 부드러운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이 수치가 높을수록 인풋렉이 잦아질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낮은 수치에서 점점 올리는 방식으로 자신의 설정을 찾아가는 것을 권장합니다.
다중 디스플레이 모드는 알트탭 혹은 다른 창으로 화면을 넘길 때 게임의 업스케일이 풀리는 현상을 막아줍니다. 그래도 순간순간 특유의 어떤 느낌이 남아있습니다. 해보고 결정하세요.
E a,b,c,d번 이후 가이드
먼저 해당 보간의 경우에는 x2배를 사용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x3이후부터는 고스트 현상이 급격하게 증가를 하게 되며, 이로 인해 불쾌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현재 RTX 5000번대의 X4배의 경우 상당한 이질감이 나타난다고 하므로, 이를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1. DLSS가 되는 게임의 경우 DLSS를 사용하고 같이 사용하기면 좋습니다. (dlss사용시 업스케일링은 끄세요)
2. LSFG는 무조건 듀얼로 사용하세요. 싱글로 사용시 지연시간 급증가 및 인풋렉도 높아지며 상당한 이질감이 생겨서 사용하기에 좋지 않습니다.
3. 해당 LSFG는 UMPC 이용자에게 상당한 이득을 줍니다. 혹시나 UMPC 사용자라면 무조건 사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이질감보다 프레임으로 얻는 이득이 훨씬 큽니다.
4. 내장 그래픽은 최대한 사용은 지양해주세요. 사용시 내장 그래픽카드 성능이 최소한 1050ti이상의 스펙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5. FSR이나 DLSS4 OR DLSS3와 같은 프레임 보간을 같이 사용하시는 건 비추천합니다.
6 업스케일링은 끄시는걸 추천합니다
써야 한다면 콘솔 게임은 FSR을 3D 게임은 LS1, SGSR 옵션을 권장하지만, 안 쓸 수 있다면 안 쓰는게 좋습니다.
7. 기본으로 전체 모드에서 사용이 가능하나, 창모드, 전체 창 모드에서 사용하고자 할 시 윈도우 10,11기준 설정 -> 시스템 -> 디스플레이 -> 그래픽 -> 창 게임에 대한 최적화를 on 하면 가능합니다.
8. 언더볼팅 + 모니터 HZ의 70% 수준으로 프레임 제한(엔비디아 드라이버 등을 통해 적용)을 하고 쓸 경우 발열, 전력소모량에서 이득을 볼 수 있습니다.
업데이트
2025년 3월 04일(한국시간)으로 최신 업데이트(베티 버젼)이 이루어졌습니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서 생긴 기능은 지정 프레임까지 올라갈 수 있게 배율 및 기본 프레임을 자동 조정을 하여 화면을 더욱 부드럽게 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입니다.
해당 기능은 듀얼 그래픽 카드를 권장하고 있으며, 이를 사용시 전력 소모 감소나 혹은 그 외 이유가 아닌 이상 엔비디아 드라이버 프레임 고정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Fixed 모드 : 기존 배율 지정 읍션
adaptive 모드 : 신규 모드, 프레임 지정 자율 배율 읍션
해당 모드를 사용시 x2배 이상이 자동으로 적용되며 이로 인해 전려 소모, 서브 그래픽 카드 사용량이 증가합니다.
그렇기에 원하시는 것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검은사막 인벤 팁과노하우 게임알못
2025-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