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5.4 연월 비경 전반부 및 후반부 특징
전반부는 풀 원소 딜러와 카즈하를 활용하여 쉽게 클리어 가능
후반부는 번개 원소 딜러를 활용하도록 설계되었으며, 마비카 조합이 유리
현재 지맥 이상은 후반부에 공이 있어 발레사 접대에 유리할 것으로 예상
2. 국내 픽률 데이터 분석
프리나 93%, 카즈하 69%로 높은 픽률 기록
베넷, 시그윈, 느비예트, 라이덴, 마비카 등이 뒤를 이음
위챗 픽률과는 차이가 있으며, 위챗은 후반부 만개 조합(나히다, 야란 등) 사용률이 높을 것으로 예상
호두, 클레, 샤를로트 등도 후반부에 사용될 가능성 존재
3월 16일부터 20일까지의 디스코드 국내 통계 기준
3. 국내 조합 순위 분석
전반부는 느비예트 조합이 압도적
느비카베 조합도 높은 순위를 기록
후반부는 마비카 조합 외에 타이나리 만개 조합, 아를레키노, 클로린드 조합 등이 사용됨
4. 위챗 픽률 데이터 분석
국내 픽률과 유사하지만, 격차가 더 크게 나타남
프리나 픽률은 높지만, 나머지 캐릭터 픽률은 낮음
백출 픽률은 국내보다 낮음 (한국 유저들이 백출에 대한 거부감이 더 큰 것으로 해석)
소, 나비아 조합도 일부 사용됨
5. 픽률 변동 순위 분석
느비예트 픽률 상승, 미즈키 픽률 하락
미즈키는 저번 비경 배치 덕분에 빙결/개화 조합에 사용하기 좋았으나, 이번 배치에서 개체수가 줄어들면서 픽률 하락
아를레키노는 불 원소 접대가 사라지면서 픽률 하락
라이오슬리 픽률 하락
6. 조합 픽률 상세 분석
국내 픽률과 비교 분석
느비예트 조합이 여전히 강세
마비카 조합은 후반부에 주로 배치
느비예트는 전반부에 주로 배치 (실론 투입 시 후반부 배치)
각청 조합이 15위에 랭크된 점이 특이사항
라이오슬리 솔플은 고돌파 유저에게 적합
7. 캐릭터 보유율 및 개인적인 평가
라이오슬리 보유율 17.5% (복각으로 인해 증가)
느비예트와 마비카 조합에 픽률이 쏠리는 현상 발생
국내 픽률은 위챗보다 다양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지만, 조합은 여전히 느비예트/마비카 위주로 사용됨
원신도 인플레이션 풍파를 무시할 수 없음
8. 최종 결론
느비예트와 마비카 조합이 대세
국내 픽률은 그나마 다양한 편
원신도 인플레이션 영향으로 특정 캐릭터/조합에 쏠리는 현상 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