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

젠레스 존 제로 트리거 가이드: 범용성 좋은 격파 캐릭터트리거는 저격 게이지를 쌓아 오프필드에서 지속적인 데미지와 그로기를 누적하는 캐릭터입니다. 전용 엔진 사용 시 치명타 확률 및 방어력 감소 효과로 데미지 기대치가 높아지며, 그림자 4세트 또는 쇼크 4세트 디스크를 선택하여 데미지 또는 그로기 중 원하는 방향으로 세팅할 수 있습니다. 쉬운 조작과 뛰어난 범용성으로 격파 캐릭터가 부족한 유저에게 적합합니다.
1. 트리거 소개
00:01 - 00:24
트리거는 안대를 착용했음에도 매력적인 캐릭터로, 스토리도 괜찮게 나왔습니다. 기대만큼 좋은 성능을 보여줍니다.
2. 트리거 개요 및 특징
00:25 - 01:26
트리거는 저격 게이지를 쌓고 오프필드에서 지속적으로 데미지와 그로기를 누적하는 형태의 캐릭터입니다. 치명타 확률에 따라 그로기 능력이 향상되는 패시브를 가지고 있습니다. 전용 엔진은 치명타 확률과 방어력 감소 효과를 제공하여 데미지 기댓값을 높입니다. 데미지를 포기하고 격파 캐릭터로만 운영 시 전용 엔진은 필수가 아닙니다. 디스크는 그림자 4세트와 쇼크 4세트 중 선택하여 데미지 또는 그로기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3. 트리거 운영 방법
01:27 - 02:33
일반 공격 버튼 홀드를 통해 적용 모드 진입 후 적 공격 시 게이지가 쌓입니다. 다른 캐릭터로 교체하여 적 공격 시 트리거는 오프필드에서 여진 공격을 시작합니다. 강화 스킬 또는 궁극기 사용 시 공조 모드에 진입하여 게이지 소모 없이 여진 공격을 시도합니다. 운영 방법이 간단하고 범용성이 좋은 격파 캐릭터입니다. 격파 캐릭터가 부족하거나 영어 MB와 함께 운영할 유저에게 추천합니다.
4. 트리거 스킬 설명
02:34 - 04:30
일반 공격 홀드를 통해 진입하는 적용 모드는 공격 시 결의 게이지를 회복하여 여진 공격에 사용합니다. 일반 여진 공격은 필드 위 캐릭터의 일반, 대시, 회피, 반격, 특수 스킬, 빠른 지원으로 발동하며 3초 쿨타임을 가집니다. 강화 특수 스킬, 지원, 돌격, 궁극기 사용 시 강화된 여진 공격을 사용하며 결의 포인트를 소모합니다. 강화 특수 스킬과 궁극기 사용 시 공조 상태에 진입하여 게이지 소모 없이 일반 여진 공격을 발동할 수 있습니다. 강화 스킬은 4번, 궁극기는 6번 발동합니다. 강화된 여진 공격 쿨타임은 종류별, 횟수별로 별도 적용됩니다.
5. 스킬 비중
04:31 - 05:06
여진 공격이 데미지와 그로기에 높은 비중을 차지합니다. 스킬 레벨은 패시브, 일반 공격, 강화 스킬, 콤보 스킬 순으로 올리는 것을 추천합니다. 지원, 돌격, 회피 반격은 우선순위가 낮습니다.
6. 엔진별 효율
05:07 - 08:58
전용 엔진이 가장 높은 효율을 보입니다. 대체 엔진으로는 옥주 전자, 구속된 자, 헬파이어 기어, 월계관, 데마라 배터리, 스팀 오븐, 커터칼 등이 있습니다. 각 엔진별 특징과 트리거에게 미치는 영향 설명 - 옥주 전자: 여진 공격 명중 시 충격력 증가, 아군 전체 피증 버프 제공 - 구속된 자: 여진 공격이 일반 공격 판정이라 거의 적용 - 헬파이어 기어: 강특 사용 시 충격력 증가, 에너지 자동 회복 (트리거는 적용 X) - 월계관: 빠른 지원 사용 시 충격력 증가, 아군 얼음/불속성 치명타 피해 증가 - 데마라 배터리: 전기 피해 증가 - 스팀 오븐: 에너지 최대치 활용, 강화 스킬 사용 횟수 조절 필요 - 커터칼: 여진 공격 발동 횟수 많을 시 A급 대체 엔진으로 사용 가능
7. 디스크 세팅
08:59 - 11:54
그림자 4세트 또는 쇼크 4세트 중 선택합니다. 그림자 4세트 사용 시 쇼크 2세트 조합이 기본입니다. 쇼크 4세트 사용 시 딱따구리 2세트 조합이 기본입니다. 4번 옵션은 치명타 확률, 5번 옵션은 전기 피해 증가가 가장 좋습니다. 부옵션은 치명타 확률, 치명타 피해, 공격력 순으로 밸류가 높습니다. 전용 엔진 사용 시 치명타 확률 90% 달성이 용이합니다. 전용 엔진 미사용 시 쇼크스타 4세트가 사용하기 편리합니다. 그림자 4세트는 데미지, 쇼크스타 4세트는 그로기 수치가 높습니다. 고점 세팅 및 범용성을 위해 두 가지 세트 모두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8. 파티 조합
11:55 - 13:20
트리거와 영호 MBA 조합 시 아스트라가 최고점입니다. 카이사르는 플레이는 무난하지만 데미지량이 낮습니다. 니콜, 루시 조합은 큰 차이가 없습니다. 펄크라는 그로기는 빠르지만 침식체 다리 데미지 부족으로 스테이지 기믹 활용이 어렵습니다. A급 MB와 비교해야 할 캐릭터입니다.
9. 돌파 효율
13:21 - 15:16
돌파 효율은 트리거 단독이 아닌 파티 전체 데미지 및 그로기율을 고려해야 합니다. 1돌파는 추가 약점 비율 증가 및 여진 공격 발동 시간 감소로 전체 데미지 및 그로기율 상승 효과가 있습니다. 풀돌(6돌) 제외 가장 가성비가 좋습니다. 전용 엔진이 1돌파보다 우선입니다. 2돌파는 아군 전체에게 데미지 증가 효과를 부여합니다. 4돌파는 공조 상태 진입 시 특수 공격 발동 및 적에게 경직 효과를 부여합니다. 풀돌파는 적용 모드 시 강력한 데미지를 제공하지만 발동 빈도가 낮아 데미지 증가 효과에 제한이 있습니다.
10. 마무리
15:17 - 16:58
트리거는 기대만큼 잘 나왔으며, 영어 MB와 조합 또는 격파 캐릭터가 없는 유저에게 추천합니다. 이블린, 트리거, 아스트라 조합 또는 미아비, 야나기, 트리거 조합도 좋습니다. 캐릭터 풀이 좁거나 시작한 지 얼마 안 된 유저에게 적합합니다. 영어 MB 조합을 고집할 필요는 없습니다.
젠레스존제로ZZZero트리거캐릭터가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