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

젠레스 존 제로 트리거 12분 퀵 가이드: 스킬, 세팅, 조합 완벽 분석젠레스 존 제로의 트리거 캐릭터에 대한 퀵 가이드 영상입니다. 트리거의 스킬 활용법, 패시브, 최적의 엔진 및 디스크 세팅, 돌파 효율, 그리고 다양한 파티 조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트리거는 오프 필드에서 격파 지원, 그로기 수치 누적, 파티원 버프 등 다재다능한 역할을 수행하며, 특히 전용 엔진 사용 시 뛰어난 성능을 발휘합니다.
1. 트리거 캐릭터 소개 및 역할
00:00 - 00:19
트리거는 오프 필드에서 격파 지원, 그로기 수치 누적, 파티원에게 버프를 제공하는 다재다능한 캐릭터입니다. 격파 지원과 딜링을 동시에 수행합니다.
2. 트리거 스킬 사용법
00:20 - 00:49
트리거는 쉬운 캐릭터입니다. 아이콘 밑 게이지를 100% 채운 후 오프 상태로 들어가는 것이 목표입니다. 평타를 꾹 눌러 저격 상태로 4번 사격하면 게이지가 100%가 됩니다. 다른 딜러들이 딜을 넣도록 지원합니다.
3. 트리거 스킬 추가 설명 및 강화
00:50 - 01:25
저격 자세에서 손을 떼면 막타가 발동되며, 역방향 빠른 전 사용이 가능합니다. 딜러 - 트리거 순서로 조합하는 것이 좋습니다. 온필드 딜러가 딜을 넣는 동안 트리거는 게이지를 소모하며 추가타를 넣습니다. 강화 특수 스킬이나 궁극기 발동 시 '공조 상태'가 되며, 결의 대신 특수 발동 횟수를 사용해 추가 공격을 합니다.
4. 강화 특수 스킬 및 궁극기 활용
01:26 - 01:37
강화 특수 스킬과 궁극기는 쿨타임이 돌면 바로 사용하면 됩니다. 정해진 타이밍은 없습니다.
5. 패시브 스킬 설명
01:38 - 01:51
여진 공격 명중 시 그로기 약체 배율 35% 증가시키는 특성이 있습니다. 그로기 상태가 아니어도 상시 적용됩니다. 약차 배율은 파티원 딜을 증가시키는 좋은 패시브입니다.
6. 추가 능력 및 치명타 확률
01:52 - 02:08
파티에 강공이 속성이 같은 캐릭터가 있을 때, 트리거의 치확이 40%보다 높으면 초과분에 따라 그로기 수치를 증가시키는 버프가 있습니다. 최대 90%까지 치명타 확률을 챙기는 것이 좋습니다.
7. 치명타 확률 세팅 중요도
02:09 - 02:56
90% 치명타 확률을 맞추기 위해 4번 디스크에 치명타 확률을 장착할 수 있지만, 필수는 아닙니다. 치명타 피해 디스크를 사용해도 큰 차이는 없습니다. 채울 수 있으면 90%를 채우는 것이 좋지만, 반드시 달성해야 하는 목표는 아닙니다.
8. 특성 우선 순위
02:57 - 03:27
일반 공격 > 강화 특수 스킬 = 궁극기 순으로 찍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 공격(여진 공격)의 데미지 비중이 가장 높습니다. 회피 지원은 필수는 아닙니다.
9. 트리거 전용 엔진의 중요성
03:28 - 04:02
트리거는 전용 엔진 성능이 매우 좋습니다. 치명타 확률, 방어력 감소, 충격력 제공 등 다양한 이점을 제공합니다. 전용 엔진 사용을 권장합니다.
10. 전용 엔진 외 대체 엔진
04:03 - 04:50
청이 전용 엔진인 '맑은 옥주 전자'도 사용 가능합니다. 일반 공격 판정을 받는 여진 공격에 효과적입니다. '구속된 자' 엔진도 좋은 효율을 보입니다. 상시 엔진이라 접근성이 좋습니다.
11. 다른 대체 엔진 옵션
04:51 - 05:22
이블린, 엘렌 등 불/얼음 딜러와 함께 사용할 경우 '월계관' 엔진도 사용 가능합니다. '헬파이어 기어'도 사용할 수 있지만, 효율은 떨어집니다. 아스트라와 조합이 강제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12. 기타 엔진 및 스틸 쿠션
05:23 - 05:56
화석 코어, 커터칼 리볼버, 로터 스팀오븐 등 A급 엔진도 사용 가능합니다. 격파 엔진이 없다면 치명타 확률을 제공하는 '스틸 쿠션'을 사용합니다.
13. 디스크 세팅: 4세트 효과
05:57 - 06:29
4세트로는 '쇼크 스타 4' 또는 '그림자 4'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디스크가 없다면 지원 느낌으로 '원실 펑크', '별사탕' 등을 사용합니다. 명함 상태에서는 딜 비중이 낮으므로 격파 세팅이 더 의미 있습니다.
14. 쇼크 스타 4 vs 그림자 4
06:30 - 06:56
'쇼크 스타 4'가 기본적으로 좋지만, 강습전에서 그로기 횟수가 제한적이라면 '그림자 4'가 더 좋을 수 있습니다. 고점에서는 그림자가 더 좋습니다.
15. 돌파에 따른 디스크 선택
06:57 - 07:06
돌파가 높아질수록 트리거의 딜 비중이 높아지므로 '그림자 4' 효율이 좋아집니다. 돌파가 높을수록 그림자 4를 쓰는게 좋습니다.
16. 2세트 효과 및 상황별 선택
07:07 - 07:36
2세트는 본인에게 맞는 것을 사용합니다. 치명타가 충분하면 '노래 2'나 '쇼크 2'를 사용합니다. 치명타 확률이 부족하면 '딱따구리'를 사용합니다.
17. 4, 5, 6번 디스크 옵션
07:37 - 08:11
4번 디스크는 치명타 확률을 사용합니다. 여유가 없다면 치명타 피해를 사용해도 괜찮습니다. 5번 디스크는 전기 속성 피해 고정입니다. 6번 디스크는 일반적으로 충격력을 사용합니다.
18. 충격력 vs 공격력
08:12 - 08:29
충격력과 공격력 중 그로기 차이가 없다면 공격력을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공격력이 더 높은 점수를 낼 수도 있습니다.
19. 디스크 옵션 선택 요약
08:30 - 08:40
디스크 옵션은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선택하면 됩니다.
20. 돌파 효율
08:41 - 09:39
트리거는 명함 자체가 중요한 캐릭터입니다. 1돌파 효율이 매우 좋습니다. 1돌파는 전용 엔진과 비슷한 효율을 냅니다. 돌파 효율은 전반적으로 좋은 편입니다. 1돌파를 추천하지만, 명함으로도 충분히 사용 가능합니다.
21. 파티 조합
09:40 - 10:01
트리거는 범용성이 넓어 어떤 딜러와도 잘 어울립니다. 딜러 자리에 아무나 들어가도 상관없습니다.
22. 추천 파티 조합
10:02 - 10:38
실비, 트리거 조합이 매우 좋습니다. 미아비, 트리거, 아스트라 조합도 강력합니다. 야나기 온필드 파티도 괜찮습니다. 이블린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23. 세 번째 자리 추천 캐릭터
10:39 - 11:52
카이사르: 무지성으로 사용하기 좋고 쉴드 제공. 루시: 점수가 가장 높게 나옴. 헐크라: 다른 좋은 캐릭터들을 다른 파티로 보낼 수 있음.
24. 트리거 캐릭터 총평
11:53 - 12:24
트리거는 사용감이 편리하고 좋은 캐릭터입니다. 오프 상태에서 많은 역할을 수행합니다. 여유가 된다면 명전까지 노려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젠레스존제로ZZZ트리거트리거세팅트리거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