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니케 세계관 확장과 스토리 진행의 문제점
챕터 27부터 시작된 새로운 지역 이야기가 니케 세계관을 확장하고 있지만, 포비스트 서사에 집중되어 스토리 진행이 늦어지는 느낌을 줌
올해 초 공개된 이벤트 스토리 속 미지의 존재들이 점차 모습을 드러낼 것으로 예상됨
포비스트 중심 스토리는 시간을 갖고 지켜봐야 할 것
2. 베히모스의 거대화와 언체인드, 다크메터의 연관성
챕터 34에서 베히모스가 언체인드 혈액과 다크메터를 이용해 거대화에 성공
이는 다크메터와 언체인드가 서로 연관되어 있음을 시사
3. 베히모스의 거대화 과정 분석
베히모스는 언체인드 피에 닿았을 때 몸 속 세포가 날뛰는 느낌을 받았지만, 다크메터로 제어 가능함을 느낌
이를 통해 거대화에 성공했으며, 언체인드는 단순한 천적이 아닌 진화의 매개체일 가능성이 제기됨
4. 지휘관의 빠른 회복력과 다크메터의 영향
챕터 37에서 지휘관이 레비아탄에게 관통상을 입었음에도 빠르게 회복하는 모습이 묘사됨
베히모스의 진화와 레비아탄의 공격에 사용된 다크메터를 고려할 때, 지휘관의 회복력 증가는 다크메터의 영향으로 추정됨
5. 다크메터의 기원과 언체인드의 연관성
머드피쉬 사이드 스토리에서 검은 물(다크메터)을 마신 레비아탄의 바디가 변형되는 모습이 등장
윈스덤 스프링에서는 신체 개조를 받은 지휘관의 과거가 묘사됨
서로 다른 스토리에서 등장하는 특수한 물체가 상호작용하여 진화를 이뤄내는 것은 언체인드와 다크메터의 기원이 같음을 암시
6. 라피의 바디와 포비스트의 퀸 제조 계획
티저 영상에서 포비스트의 지즈가 라피의 바디를 발견하여 레비아탄에게 보여주는 장면이 등장
지즈는 라피의 바디를 베히모스의 먹이로 제안하지만, 포비스트는 R을 이용해 랩처와 헬레틱을 넘어선 퀸을 만들고자 함
레비아탄은 라피의 바디를 이용하여 자신들만의 퀸을 만들 수 있음을 암시
7. 미지의 존재 '디비'와 라피 바디의 특이점
푸스텝 스토리를 통해 미지의 존재 '디비'가 처음 등장하며, 니케 스토리의 다양한 부분에서 그녀와 연관된 요소들이 등장할 것임을 암시
디비의 능력으로 라피와 레드후드의 바디가 결합되고, 두 사람의 코어가 하나의 바디에 존재할 수 있게 됨
라피의 바디 주변에 랩처들이 밀집해 있었다는 점은 해당 바디에 또 다른 특징이 있거나, 디비에 준하는 존재가 랩처들을 불러모았을 가능성을 제기
포비스트는 베히모스의 바디를 되찾는 것에만 몰두하고 있으며, 라피의 바디를 이용한 계획은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예상됨
8. 인위적인 퀸 제조 가능성과 포비스트의 계획
이번 스토리를 통해 랩처들의 우두머리인 퀸이라는 존재가 인위적인 방식을 통해서도 만들어질 수 있음이 묘사됨
포비스트는 오랜 시간 동안 집게에게 복수하기 위한 수단을 준비하고 있었음
수정을 의도적으로 퍼뜨려 랩처를 비롯한 주변 지형지물에서 전기를 끌어모으고, 하무니 큐브를 가동하여 지하에 유사 방주를 생성
유사 방주 내부에서 특수한 재료들을 모아 헬레틱 이상의 퀸을 만들어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9. 포비스트에게 '방주'가 갖는 의미
레비아탄이 언급한 수정 지역과 가까운 땅굴은 포비스트가 퀸을 만들기 위한 장소로 추정됨
포비스트는 자신들만의 퀸을 만드는 것이 목적임에도 '방주'라는 공간을 특정하고, 그곳에서 퀸을 만들어내려 함
포비스트에게 방주는 인간의 고속 진화를 상징하며, 진화를 통해 집게에게 복수를 꿈꾸는 짐승들의 입장에서 그 상징성이 중요함
10. 랩처와 인류의 유사성, 그리고 퀸의 기원
포비스트는 인간의 문명을 따라하는 모습을 보이며, 랩처와 인류 사이의 공통점과 유사점을 지적
토커티브가 모더니아를 퀸으로 각성시키기 위해 사용한 입자의 출처는 불명확하지만, 현재 스토리에서 묘사되는 퀸은 서로 다른 기원을 가짐
포비스트가 새로운 퀸을 창조하여 독자적인 세력으로 진화할 수 있을지, 그리고 디비가 어떠한 선택을 하게 될지 귀추가 주목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