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25.12 패치 주요 특징
이번 패치는 MSI를 대비하여 라이엇이 대회 밸런스를 신경 쓰기 시작하면서 솔랭 밸런스에 허점이 생길 수 있음을 언급.
개발진 코멘트에서 대회 밸런스를 위한 조정이라는 점을 강조.
2. 탑 챔피언 변경점: 럼블 너프
럼블은 그웬과 함께 상단 공격로에서 선두 주자였기에 위력 감소. 솔랭보다는 대회에서의 활약을 고려한 너프.
체력과 W 초반 쿨타임 너프, Q 스킬 최대 체력 계수 및 2 스킬 데미지 감소.
3. 탑 챔피언 변경점: 그웬 너프
그웬 역시 럼블과 마찬가지로 대회에서 강력한 모습을 보여 너프 대상이 됨.
솔랭에서는 기존의 압도적인 지표를 기록하고 있지는 않았기 때문에 다른 대안을 찾는 것이 좋을 수 있음.
4. 탑 챔피언 변경점: 요릭 조정
요릭은 대회 및 솔랭에서 모두 좋은 성능을 보였던 챔피언.
트포를 올리는 요릭을 고려하여 초반 너프, 트포 이후 버프 형태로 조정.
경쟁자들 너프가 더 커서 지켜봐야 할 것.
5. 탑 챔피언 변경점: 쉔, 잭스 조정
쉔은 솔랭에서 좋은 성능을 내고 있어 너프.
잭스는 패시브 공속 버프를 받아 솔랭에서도 사용 가능성이 높아짐. 지난 패치에서 승률이 아쉬웠음.
6. 탑 챔피언 변경점: 아트록스 버프
아트록스는 지난 패시브 너프로 성능이 매우 떨어져 이번에 유지력 증가 버프를 받음.
픽률은 올라갔지만 승률은 따라가지 못하고 있어 큰 반전을 만들기는 어려울 수 있음.
7. 탑 챔피언 변경점: 가렌 버그 수정 및 버프
가렌은 E 스킬 버프와 함께 방어력 감소 버그가 수정됨.
버그 수정은 예측하기 어렵지만 주력 스킬 버프이므로 기대해 볼 수 있음.
8. 탑 챔피언 변경점: 모데카이저 버프
모데카이저는 Q 스킬 데미지 버프를 받음.
매우 중요한 버프이므로 승률은 확실히 오를 것이나, 이전 승률이 48%대였으므로 49.5%~50.5% 정도의 승률을 뽑아내는 것이 1차 목표.
9. 정글 챔피언 변경점: 리신 대폭 버프
리신 버프 하나로 메타가 뒤집힐 수 있음. 이전 버프가 너무 강해 부분 롤백했었던 내용을 다시 살려낸 것.
솔랭 기준 오피 챔피언 등극 가능. 개발진 코멘트에 따르면 MSI 프로 경기에서 더 자주 활약하도록 위력 상향.
10. 정글 챔피언 변경점: 니달리 버프
니달리도 버프를 받지만, 탑 니달리가 강해지지 않도록 쿠거폼 AP 계수 버프.
정글은 리신이 지배할 예정이므로 큰 의미가 없을 수도 있음. 리신과의 상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11. 정글 챔피언 변경점: 바이 너프
바이는 프로 경기에서 레드사이드 1밴으로 나올 정도로 강력하여 너프. MSI 전에 너프 필요.
솔랭에서는 이미 죽어있는 상태.
12. 정글 챔피언 변경점: 벨베스 버프
벨베스는 편의성 개선 버프를 받음.
한국 기준 픽률이 높지 않아 데이터 수집에 오래 걸리겠지만, 주류 픽이 되기는 어려울 것.
13. 정글 챔피언 변경점: 람머스 조정
람머스는 AD 카운터 느낌을 줄이는 방향으로 조정. 극단적인 면을 줄임.
리신 패치 두 줄이 훨씬 강력해서 한국 서버에서 흥하기는 힘들 것.
14. 미드 챔피언 변경점: 아리 너프
아리는 기동력과 먼저 선택하기 좋은 성능 덕분에 프로 경기에서 자주 등장. MSI에서 다른 중단 공격로 챔피언과 비슷한 수준으로 만들고자 너프.
궁극기 쿨타임과 매혹 밸류 너프.
15. 미드 챔피언 변경점: 아지르 너프
아지르는 이속 너프와 공속 너프를 받음.
너프가 꽤 치명적이므로 솔랭에서는 마스터 미만 사용 금지 딱지를 붙여야 할 정도.
16. 미드 챔피언 변경점: 탈리아 너프
탈리아는 대회에서 압도적 1티어 챔피언.
강화 Q 데미지 너프가 꽤 중요하지만, 아리나 아지르에 비하면 견딜 만할 것.
대회에서는 여전히 압도적 1티어 카드일 것.
17. 미드 챔피언 변경점: 오로라 버프
오로라는 프로 경기에서 쓰기 까다로운 챔피언이었기에 중단 공격로를 중점에 둔 상향 적용.
미드 오로라가 기분 좋게 마저 버프와 궁극기 개수 버프.
18. 미드 챔피언 변경점: 르블랑, 트페 버프
르블랑은 궁극기 쿨타임 버프와 E 스킬 개수 버프.
리신 르블랑 조합의 가치가 높아질 것으로 보임.
트페는 받은 버프마저 롤백, 이번 패치에서 또 버프되어 무조건 떡상할 수밖에 없는 상태. 공속 버프와 궁극기 버프 모두 받음.
리신 트페 조합은 보장된 조합.
19. 미드 챔피언 변경점: 트페 버프 (2)
트페는 공속 버프와 궁극기 버프 중 하나만 들어와도 충분했을 텐데 모두 들어옴.
파트너 리신까지 정글을 씹어 먹을 정도이기 때문에 무조건 1티어로 갈 것.
최근 봉풀주 기용률이 올라가면서 평균 지표도 좋아지고 있었음.
대회에서도 트페는 꽤 나올 것으로 예상.
20. 원딜 챔피언 변경점: 칼리스타 너프
프로 선수들에게 칼리스타 픽 또는 밴보다 더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하고자 너프. 누가 봐도 대회 적용 패치.
솔랭 기준으로는 이미 쓰기 어려웠는데 이번에 아예 바이바이.
21. 원딜 챔피언 변경점: 바루스, 니코 너프
바루스 너프: 공격로에서 원거리 견제와 적중 시 효과 빌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능력 덕분에 프로 경기에서 높은 존재감을 보여 너프.
니코 너프: 깡데미지 너프하고 계수를 버프하여 서포터 쪽 성능을 저격.
22. 원딜 챔피언 변경점: 바루스 너프 (2)
바루스는 프로 경기에서 매우 높은 존재감을 보이는 원거리 딜러였기에 라이엇이 프로 경기라는 코멘트를 남김.
기본 방어력 너프 수치를 많이 깎아서 타격은 확실히 있을 것.
23. 원딜 챔피언 변경점: 바루스 너프 (3)
바루스 하나만 뽑았다고 라인전 오케이라고 안심하기엔 이르겠음.
24. 원딜 챔피언 변경점: 세나 너프
세나는 스태틱 빌드를 통해 성능이 올라올 줄은 몰랐다고 언급.
원래 사용하던 빌드 기준으로는 14% 확률이 괜찮은데 스태틱 빌드가 메인이 되면서 과한 패치가 되었으니 10% 정도로 다시 내리겠다고 함.
25. 원딜 챔피언 변경점: 제리 버프
제리는 프로 경기에 기용될 때 충격적인 위력을 보일 수 있는 챔피언.
제리가 진정으로 빛날 수 있도록 궁극기의 위력을 조금 상향. 프로신에서 제리가 좀 더 나오길 바라는 눈치.
26. 원딜 챔피언 변경점: 제리 버프 (2)
솔랭에서도 성적이 안 좋아서 확실히 살려주려면 데미지 버프를 더 해 줘야 하는데 지금 버프하는 유틸 버프가 좀 더 커서 확 살아나지는 못할 것.
27. 원딜 챔피언 변경점: 아펠리오스 버프
아펠리오스의 위력은 적절한 수준이지만 프로 경기에 나올 만큼 강력하진 않다고 판단.
프로 경기의 중점을 두고 아펠리오스를 조금 상향해서 아펠리오스의 무기를 신념의 무기라는 이름에 걸맞게 조금 더 믿을 만하게 만들었다고 함.
28. 원딜 챔피언 변경점: 아펠리오스 버프 (2)
프로신에서 아펠리오스를 보고 싶다는 말을 라이엇이 했는데, 제리와는 다르게 조합을 타는지라 피어리스의 힘을 빌려 5세트 정도까지는 가야 고려되지 않을까 싶다고 함.
첫날 픽률이 5% 포인트 가량 뛰어오름.
29. 서포터 챔피언 변경점: 니코 너프
니코 서포터는 프로신에서 까다로운 존재였기에 국룰 패치로 깡데미지 너프하고 계수를 버프하여 서포터 쪽 성능을 저격.
니코 선호도가 확 떨어지지는 않을 것 같다고 함.
30. 서포터 챔피언 변경점: 바드 버프
바드는 살짝 뜬금없이 버프가 들어오긴 했지만 솔랭에서도 무난하고 대회에서도 가끔 등장하는 챔피언.
이속 버프가 쏠쏠하게 들어옴.
31. 착취 룬 및 오브젝트 패치
착취 룬: 원거리 챔피언들이 착취를 들고 플레이하며 구도를 뒤집는 경우가 많았는데 그 메리트를 많이 줄임. 꽤나 큰 변수.
아타한 생성 위치는 가볍게 읽고 넘어가면 됨.